본문 바로가기
투자 공부/시황 읽기

구리 선물 사도 될까?

by 위풍당당 가리비 2024. 6. 16.
반응형

작성일 : 2024.06.19

네이버 메르의 블로그를 보면서 인사이트가 되게 깊고 글이 정말 좋다고 느꼈다.

 

글을 읽다 보니깐 글을 쓰는 방식이 한가지 문제나 주제를 정해두고 (한가지의 질문을 던짐) 그와 관련된 정보들을 꼬리물기로 계속 작성하시는 스타일이었다.

 

인사이트가 깊은 이유가 그런 글쓰기 스타일에서 나오는 것 같아서 나도 티스토리에는 그런식으로 정리를 해봐야겠다.

 

그리고 원자재는 주식처럼 급격하게 바뀌거나 하지 않기 때문에 한번 공부해두면 아주 가성비 좋게 활용할 수 있다.

 

1. 구리가 AI, 전기차 발전으로 인해 수요가 급증하면서 가격도 최근에 올랐음. 24년 2월 부터 급상승했다가 다시 10%정도 하락함.

 

2. 구리의 슈퍼사이클이 온다는데 수요가 얼마나 많아진걸까? 공급이 금방 받쳐줄 수 있을까? 이 두가지가 궁금함.

 

3. 구리는 지하 광물이기 때문에 공급이 갑자기 늘어나는 건 쉽지 않을 것으로 생각됨.

 

4. 전세계 구리의 75%는 반암형 광상이라는 곳에서 만들어진다고 함. 

 

5. 반암형 광상에서 마그마가 식으면서 광물 결정들이 형성되는데 그런 광물들이 모여있는 곳이 광상이라고 함. 반암형은 그냥 광물의 종류나 그런걸 의미하는 듯함.

 

6. 어찌됐든 이 광상의 크기가 지각의 두께와 연관이 있다고 함.

 

7. 마그마가 맨틀에서 지각을 뚫고 나오는 길에 점점 식는데 지각이 두꺼우면 뚫고 나오는데 시간이 오래걸리니깐 큰 광상이 만들어진다고 함. 두껍다의 기준은 40km정도.

 

8. 지각이 두꺼운 곳들은 환태평양 조산대, 불의고리에 해당하는 부분들임. 그래서 구리 광상도 그쪽에 많음. 아마 저기는 구리만 많은게 아니라 다른 광물도 많을 것.

출처 : 네이처 리뷰 지구&환경

9. 우리나라는 지각 두께가 33km. 구리가 있어도 많지는 않을 것.

 

10. 구리의 생성 조건을 보다가 잠깐 길이 샜는데 어쨌든 궁금한거는 구리가 부족한가?

 

11. 6월 5일 기사를 보면 재고가 갑자기 증가했다고 함.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6045409i

 

글로벌 재고 급증에 구리가격 1만달러 아래로 [원자재포커스]

글로벌 재고 급증에 구리가격 1만달러 아래로 [원자재포커스], 안상미 기자, 국제

www.hankyung.com

https://www.hankyung.com/article/2024052265601

 

뜨겁게 달아오른 구리 가격…거품론 '솔솔'

뜨겁게 달아오른 구리 가격…거품론 '솔솔', 구리 현물 연일 사상 최고치 中 감산 예고에도 재고는 늘어 "투기세력 가세…단기투자 주의"

www.hankyung.com

 

12. 중국 구리 제련소들이 감산을 예고했는데 상하이 선물거래소에서 구리 재고가 줄어들지 않는다. 29만톤의 재고가 있는데 1년 전보다 두배 가량 늘어났다고 한다. >> 근데 이거는 조금 뻥튀기 된 감이 있음. 재고가 원래 한번 쭉 쌓였다가 갑자기 줄어드는 그런 형태인 것 같음. 근데 2배 차이라는 건 저점과 지금 재고가 팍 쌓인 지금을 비교하는 것.

출처 : MacroMicro

13. LME 구리 재고는 24년 초부터 줄어가다가 5월 중순부터 반등함. 근데 중국은 반대로 24년 초부터 재고가 급증함.

 

12-2. CME 거래소에 구리 재고는 많이 줄어있음.

 

 

12-3. 즉, 유럽, 미국에서는 재고가 많이 줄어든 상황이고 중국만 재고가 넘침.

 

13. 약 3개월 전 24년 3월에 5~10%정도 감축하겠다고 했음. 근데 실상은 그러지 않은 듯함. 24년 현재 중국의 구리 생산량은 연간 1400만톤. 전세계 생산량의 절반정도를 차지함.

 

14. 기업은 구리 가격이 오르니깐 마진을 줄여서라도 점유율을 유지하고 싶어하고, 중국 정부도 현재 좋지 않은 경제를 부양하기 위해서는 구리 기업이 계속 생산을 했으면 하는 상황임.

 

15. 지금 상황으로 봤을 때 구리 가격 상승의 가장 큰 걸림돌은 중국이 생산량인 것 같음. 신규로 광산 개발도 하고는 있음. 

 

16. 구리는 광산을 새로 발견하고 실제 금속을 채굴하기까지 15년이 걸린다고 함.

 

17. 그리고 구리같은 광물은 무거워서 원거리 수출을 잘 안한다고 함. 그래서 중국에 있는 구리 재고가 미국으로 가는 건 쉽지 않고, 정치적으로도 미중 패권전쟁 중인데 가기 쉽지 않을 듯함.

 

18. 한달에 10만톤 정도의 구리 수출될 것 이라는 이야기도 있는데 아직 확정된건 없는 듯함.

 

19. 미국에서는 수요가 공급을 못따라 간다. 중국에서는 공급은 많지만 수요가 없다. 중국이 미국에게 우위를 잡기 위해서는 구리 가격을 크게 올리는 게 낫지 않나?

 

20. 데이터 센터 하나를 짓는데는 2천톤의 구리, 전기차 한대에는 80kg(내연기관 대비 4배)의 구리가 사용됨.

 

21. 2023년 전세계 구리 생산량은 2천 백만 톤. 현재 전세계 구리 수요는 연간 2500만 톤정도 임. 수요와 생산량이 거의 비슷함.

 

22. 구리 생산량은 매년 2%정도씩 늘어난다고 함. 늘어난다 하더라도 올해 구리 수요를 받아내기에는 부족할 것으로 보임. 재고를 그래서 재고가 점점 줄어들고 있었던 것.

 

23. 근데 남미쪽에서 문닫는 광산과 생산량을 줄이는 광산들이 생기고 있음. 그래서 골드만 삭스는 올해 50만톤 가량의 공급이 부족할 것으로 예상함.

 

24. 수요는 늘어서 재고를 갉아먹는 상황인데 엎친데 덮친격으로 공급이 줄어든다? 문제가 있을 것으로 보임.

 

25. 그리고 중국이 스크랩을 싹 쓸어가고 있다고 한다. 그 때문에 스크랩 가격이 올라 한국도 피해를 봤다고 한다.

 

26. 계속되는 궁금증. 중국은 자국에서 수요도 많지 않으면서 왜 이렇게 구리를 긁어 모으는가?

 

계속 읽어볼 자료.

https://www.donga.com/news/Economy/article/all/20240517/124983858/1

 

갑자기 구리가 귀해졌다…왜 더 많이 캐내지 못할까?[딥다이브]

인류 최초의 산업용 금속. 세계 경기 판단의 지표가 되는 원자재. 전기화의 대표적 금속.뭘 얘기하는지 아시겠죠. 바로 구리입니다. 구리 가격이 최근 t당 1만 달러를 다시 넘어서…

www.donga.com

 

2024.08.04 업데이트

 

- 지금 구리 가격은 4.12로 많이 낮아진 상태. 처음 구리를 봤었던 2024.06.19에는 4.5달러였는데 지금은 4.12달러. 약 8%정도 떨어진 상황임.

- 구리는 경기에 민감한 원자재이기 때문에 앞으로 더 떨어질 가능성이 높음.

- 계속 떨어진다면 구리에서도 매수 기회가 나올 수 있음.

반응형

'투자 공부 > 시황 읽기' 카테고리의 다른 글

일본 금리인상  (0) 2024.07.31
240728 시황  (0) 2024.07.28
240727 시황 - 트럼프 공약  (0) 2024.07.27
지금 내 투자의 문제점  (0) 2024.07.18
알트리아 그룹 팔아야하는가? 홀딩해야하는가?  (0) 2024.07.05